본문 바로가기
  • ▒ SCOOP ▒ 실시간 정보
카테고리 없음

심상치않은 중국배터리 가동률 뚝(월)2019-04-01

by 오렌지훈 2019. 4. 1.
728x90

심상치않은 중국배터리 가동률 뚝(월)2019-04-01


주말 뉴스 중 눈에 띄는 것이 중국 2차전지 배터리업체들의 가동률이 하락했다는 것이 있네요. CATL 가동률이 76%이고, BYD도 54%이며, 기타업체들은 더 낫다로 하네요. 올해 6월부터 중국내 전기차 보조금이 축소되기 때문에 경쟁력 부족한 중소업체들은 더 어려워질 듯 합니다. 본격적으로 시장재편 구도인지 지켜봐야 겠습니다. 


사진출처:머니투데이


CATL 가동률 90→76%로 뚝…심상찮은 中배터리

[머니투데이 우경희 기자] 

[2위 BYD도 여전히 절반수준…中 당국자 "2~3년 내 배터리설비 고철 될것"]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을 양적으로 선도하고 있는 중국 배터리업계 분위기가 심상찮다. 공급과잉과 기술 부족 여파로 작년 중국 양대 배터리사들의 가동률이 예상을 크게 밑도는 것으로 집계됐다.


31일 CBEA 등 외신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중국의 양대 전기차용 배터리 
브랜드인 CATLBYD는 지난해 각각 76%, 54%의 가동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CATL의 가동률은 2017년 89.7%(中 EV100인회 '2018 리튬배터리 산업발전
보고' 기준)에서 13%포인트 이상 급감했다. BYD는 전년 43.5% 대비 올랐지만 여전히 절반 정도만 가동되는 낮은 수준이다.

양사는 중국 배터리의 상징 격인 기업이다. 
중국 CATL은 지난해 출하량 기준 글로벌 점유율 21.9%를 기록한 세계 최대 배터리회사다. 중국 국영기업인 BYD는 12.0%로 일본 파나소닉(21.4%)에 
이어 3위다. 모두 한국의 LG화학(7.6%)이나 삼성SDI(3.1%) 등을 앞섰다.


그러나 가동률은 꺾이고 있다. CBEA는 이들 외 8개 중국 현지 배터리 제조업체의 지난해 가동률은 더 심각한 6~34%에 그쳤다고 보도했다. 
중국 정부의 보조금에 의지해 공급 과잉이 발생하면서 늘어나는 수요에도 
불구하고 가동률이 바닥을 치고 있다. 같은 기간 한국 등 경쟁국 업체들은 90~100% 가동을 목표로 공장을 가동 중이다. 
대조적으로 수요처 인근에 공격적 증설도 추진한다. 



중국 현지언론은 여기에 중국 정부의 신규 보조금정책이 에너지 효율이 높은 배터리에 집중되면서 사실상 중국 현지 배터리업체들은 보조금을 받지 못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미 산업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중국 자동차기술연구센터 부주임은 현지 언론과 인터뷰에서 "지금의 중국 배터리 설비는 2~3년 뒤에 고철더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정부는 2020년까지 전기차용 배터리 보조금 지급을 없애기로 했다. 
전기차 자체에 대한 지원도 마찬가지다. 지방정부가 이미 보조금을 없앴고 중앙정부의 보조금도 전년 대비 50% 이상 축소된 상태다. 한 번 충전으로 달릴 수 있는 거리를 250km 이상 확보하지 못하면 아예 보조금을 받지 못한다.

배터리 보조금 축소와 전기차 보조금 축소로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비용부담은 늘어나고 있지만 격화되는 글로벌 경쟁 속에서 가격을 올리기는 어렵다. 중국 전기차 최대 장점인 가격경쟁력이 흔들릴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현지 언론은 광저우신에너지차, BYD, 니오 등 중국 전기차 업체 관계자들의 발언을 인용해 "제품 가격 인상은 없다고 밝혔다"고 전했다.


http://naver.me/5xkrxkt2


중국 전기차 보조금 축소 코멘트


하나금융투자 



1. 보조금 축소


- 1회 충전시 최소 주행거리 150km에서 250km로 상향


- 250km 이상에서도 보조금 규모 47~67% 삭감


- PHEV 보조금 규모 55% 삭감


- EV용 배터리 에너지 밀도 기준 상향 및 보조금 지급배수 하락



2. 분석


- 2018년 중국 전기차 판매 100.2만대(+80%), 비중 4.4%


- 보조금 삭감 조치는 전기차 시장의 성장속도를 예상보다 둔화시킬 것


- 보조금 의존한 저기술 업체의 퇴출 및 고기술 업체 위주의 

  시장 재편 가속화


- 정부는 친환경차 의무생산 제도 시행 및 비보조금 정책을 강화



3. 판단


- 중국 내 친환경차 판매가 많지 않은 한국 완성차에 영향은 미미

  (판매비중 0.7%)


- 단기로는 적응 시간을 벌고, 시장 재편에 따른 영향력 확대 가능성


- 적응기간에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숙제


- 중국 내 글로벌/로컬OE 대상 친환경차 부품 업체들은 소폭 부정적


전문: https://bit.ly/2HNc6ej





반응형

댓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