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고 바로누우면
방귀대장 되는 이유
(월)2020-02-17
밥을 먹으면 왜 꼭 졸릴까?
회사 점심시간 후 오후 근무는
일과의 사투가 아닌 잠과의 사투다.
열심히 근무한 평일을 보답받기 위해 주말엔
밥만 먹고 누워 뒹굴뒹굴하다 잠을 잤다.
그런데 이렇게 밥 먹고 눕는 습관이
건강에 안 좋다는데, 얼마나 나쁜걸까?
식사 후 잠 오는 ´식곤증´ 이유는?
식사를 마친 후 졸음이 몰려와
업무까지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이를 식곤증이라고 부르는데, 주로 식사 이후인
2~3시쯤 몸이 나른해지고 잠이
쏟아지는 증상을 말한다.
식곤증을 단순 피로 증상이라고
여기는 경우가 많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식사 후 음식물 소화를 위해 혈액이
위장으로 몰리면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음식에 들어 있는 트립토판이라는
아미노산도 식곤증을 유발하는 물질 중 하나다.
트립토판이 인체에 흡수되면
세로토닌으로 바뀌는데,
일명 '행복 호르몬'이라 불리는 세로토닌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고 긴장을 완화시켜
졸음을 불러온다.
세로토닌의 일부는 수면 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으로 바뀌기도 한다.
방귀 뿡! 밥 먹고 눕는 습관 때문이라고?
밀려오는 졸음을 이기지 못하고 잠시 눈을
붙이게 된다면 방귀쟁이가 될 수도 있으니
조심하는 게 좋다.
식후 바로 누우면 입으로 배출돼야 하는 공기가
장 속에 오래 머무르게 돼 방귀를 많이 뀌게 된다.
식사를 빨리하는 것도 잦은방귀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입안에 공기가 많이 들어가
장내 가스의 양이 늘게 하기 때문이다.
이 밖에도 유제품, 가공식품, 밀가루, 양배추, 파,
마늘 등이 장내 가스를 유발한다.
가스를 덜 만드는 식품에는
육류, 생선, 상추, 오이, 토마토,
포도, 쌀, 계란 등이 있다.
먹고 바로 눕는 습관, 역류성 식도염 부른다
밥을 먹고 나면 바로 누워선 안 되는
이유가 하나 더 있다.
바로 '역류성 식도염'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이다.
역류성 식도염은 위의 내용물이나 위산이
식도로 역류해 식도에 염증이 생기는
증상을 말한다.
증상으로는가슴 쓰림이 나타나며,
이를 방치하면 식도선암으로도
발전할 수 있다.
밥을 먹고 바로 눕는 습관은 음식물이
위에서 소장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길게 만들어
과도한 위산 분비가일어나 음식물이
역류하는 현상을 일으킬 수 있다.
이를 위해선 밥을 먹고 바로 눕지 않으며
자기 전 야식등 음식물 섭취를 피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울증 체크리스트(화)2020-02-25 (56) | 2020.02.25 |
---|---|
신장에 문제있을때 초기증상 10가지(일)2020-02-23 (56) | 2020.02.23 |
독감환자 급증 독감유행주의보(목)2020-01-09 (16) | 2020.01.09 |
피로푸는 간단한 방법(금)2020-01-03 (2) | 2020.01.03 |
STR이 뇌졸증 환자를 살리는 이유(토)2019-12-28 (4) | 2019.12.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