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켓컬리 상장
컬리 상반기 상장
어렵게 보는 이유 ?
(목)2022-03-03
올 상반기
상장할 것으로
예상되었던
마켓컬리가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하지 않아
상반기 상장은
물건너 간 듯하다.
증시 변동성이
심해지면서
자금조달에 부담을
느낀 것으로
보이는데
통상 기업이
상장 예심을
청구이후
상장까지는 보통
4개월에서 6개월
걸리는데
2월 중 심사가
들어가야 6개월 내
상장이 가능하다.
이로써
상반기 내
상장은 물건너
간 것으로 보인다.
물론
한국거래소의
패스트트랙 제도가
(상장 간소화 제도)
남아있어 해당이
된다면
과거 3개월 만에
상장한 사례가 있다.
<< 패스트트랙 제도 >>
여기에
해당되려면
자기자본 4천억이상
매출 7천억원 이상
세전 이익 300억원
이상을 충족해야만
패스트트랙이 가능
한데 컬리는 창립이후
연속 적자를 내고
있는 상태라서 힘들 것
으로 보고 있다.
IB 업계에서는
컬리의 실적이 단기간
해소 가능하지
않다는 점에 주목
하고 있는데~
매출 증가에 비례해
물류, 인력, 마케팅 등
시설 투자가 확대
되면서 적자 폭이
확대되고 있다는 것.
컬리의 목표 시총은
대략 5~6조원 정도.
2021년 12월
홍콩 사모펀드
엥커PE 로부터
4조원의 자금을
유치한 만큼 그 이상
가치가 나와야 의미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초록마을을 포함해
기업가치를 높일 만한
신규 투자처를 적극
모색하고 있다고
한다.
지난달에는
여성 교육 서비스
헤이조이스를 인수
했다고 한다.
큰 액수는
아니지만
몸 값 올리기를 위해
M&A 에 시동을
걸었다는 점에
주목할 부분이다.
그밖에
올해 상장 예정인
오아시스마켓
(지어소프트)
신세계그룹의
SSG닷컴
(이마트)
올리브영
(CJ) 등도
컬리의 행보에
주목하고 있다고~
오아시스는
기업가치를 1~2조원
쓱닷컴은 10조원
올리브영은 3~4조원
수준으로 기업가치를
보고 있다고 한다.
코로나에
러시아 침공에
국내선 대선까지
혼돈스런 시기에
적자내는 기업이
자금조달하기 쉽지
않을 것 같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1년 회계기준 위반 , 상장사 83곳 전년대비 5 곳 증가 (화)2022-03-08 (0) | 2022.03.08 |
---|---|
쿠팡맨 맞서 프레시 매니저 영역 확대 나선다, 전기 냉장카트 기대(일)2022-03-06 (1) | 2022.03.06 |
네오핀 토큰, 글로벌 첫 상장 네오위즈홀딩스 우상향 기대 (화)2022-03-01 (0) | 2022.03.01 |
식약처, 화이자 소아용 코로나 백신 접종 허가 용량 및 투약 일정 (목)2022-02-24 (0) | 2022.02.24 |
서방국가들 과 달리 중국 우크라이나 자국민 긴급 대피령 없는 이유 (수)2022-02-23 (2) | 2022.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