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무디스 한국기업
신용등급 추가하향 전망
(화)2019-09-10
국제신평사 무디스
국제 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향후
1년간 한국 기업의
부정적 등급 조정이
긍정적 조정을 웃돌 것
이라는 예상을 내놨다.
대부분
한국 기업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부진해 신용도에
부정적인영향을 미쳤고,
미·중 무역갈등으로
인한 실적 부진이
이어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유완희 무디스
부사장 겸 선임크레딧
연구원은 10일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는
27개 한국 비금융 기업
(비상장 공기업 제외)
중 19개(70.3%)
기업의 올해 상반기
영업실적이 신용도에
부정적”이라며
“5개 기업만
신용도에 긍정적인
상반기 실적을 시현했고,
나머지 3개 기업의
실적은 신용도에
중립적이었다”고
진단했다.
올해
상반기 전반적인
산업 업황이 약화됐으며
특히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는 한국 기업들이
속한 경기변동성이
큰 산업들의 업황이
둔화됐다는 분석이다.
메모리 반도체,
정유 및 석유화학
산업은 기업심리 악화
등으로 수요가 부진
한 가운데 업황 둔화가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철강 산업도
수요 둔화와
원자재 가격 인상으로
업황이 약화됐다.
미·중 무역갈등은
수출지향적인 한국 기업들의
실적에 계속해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유 부사장은
“원자재 및 부품의
대중 수출 규모가
큰 전자 및 화학 업종에서
미·중 무역갈등이 부정적인
영향이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고조되고 있는
한·일 무역갈등은
일본의 수출 규제가
행정절차를 지연시키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한국 기업들의
실적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
으로 판단했다.
무디스가 신용등급을
부여하고 있는
24개 비금융 민간기업
중 13개 기업의 신용등급
전망은 `부정적`이거나
신용등급 하향조정을
검토하고 있다.
신용등급 전망이
`긍정적`인 기업은
전무하다.
무디스는
“무역갈등및
글로벌 경제성장
둔화로 인해
전반적인 산업업황 약화가
예상되고, 일부 기업의
대규모 투자계획 등을
고려할 때
향후 1년간
한국 기업 신용도의
추가적인 약화가 예상된다
”고 판단했다.
다만 한국 기업들이
자산 매각 또는
설비투자 축소 등을
통해 차입금을
감소시킬 경우
이러한 신용도 하향 압박은
완화될 수 있다는
첨언이다.
반응형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드디어 내일 애플 아이폰11 공개 예정(화)2019-09-10 (34) | 2019.09.10 |
---|---|
세수절벽+재정확대,진퇴양난의 경제(화)2019-09-10 (22) | 2019.09.10 |
LED 마스크 허위과장광고 적발(화)2019-09-10 (2) | 2019.09.10 |
우버이츠 나가고 쿠팡이츠 들어오고,배달전쟁 2라운드(월)2019-09-09 (2) | 2019.09.09 |
현대차 마을버스 개념의 카헤일링 검토(월)2019-09-09 (6) | 2019.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