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수출 12개월 연속 감소세
최장기간 하락곡선
(일)2019-12-01
무려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갔다.
대내외 불확실성이
이어지는 가운데
주력인 반도체와
석유화학 업종의
부진이 계속된 데다
대형 해양 플랜트 인도 취소
조업일수 감소 등의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대중 수출 감소폭이
둔화했고,
그동안 부진했던
컴퓨터와 무선통신기기 등의
수출이 호조세로 돌아서
는 등 일부 긍정적인 지표도
는 등 일부 긍정적인 지표도
나오면서 내년 회복
기대감을 키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11월) 통관 기준
수출이 지난해 같은
달보다 14.3% 줄어든
441억달러로 집계됐다
고 1일 밝혔다.
고 1일 밝혔다.
지난해 12월부터
'역주행'이 계속된 것으로
2015년 1월부터
2016년 7월까지 19개월
연속 줄어든 이후 최장기간
하락곡선을 그린 셈이다.
특히 6월 이후 6개월째
두자릿수 감소율이
계속됐다.
이로써 올해 수출은
2016년(-5.9%)
이후 3년 만에
'역성장'에 빠질 것이
확실시되며,
2년 연속 6000억달러
달성 목표도
달성 목표도
사실상 무산됐다.
특히 2009년(-13.9%) 이후
10년 만에 두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할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달 반도체(-30.8%),
디스플레이(-23.4%),
이차전지(-17.7%),
섬유(-12.3%),
석유화학(-19.0%),
석유제품(-11.9%),
선박(-62.1%) 등의
수출 부진이 두드러졌다.
반면에
최근에 부진했던
컴퓨터는 23.5%나
늘어났으며,
화장품(9.9%)과
바이오헬스(5.8%) 등
신수출 성장품목의
상승세도 이어졌다.
자동차는 1.4% 감소했으나
전기차는 무려 87.8%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난달
수출 물량은 오히려
0.3% 증가했다.
주요 20개 품목
가운데 반도체, 석유화학,
석유제품, 자동차 등
무려 14개 품목의
수출 물량이 늘어난 것
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는
대중 수출이 12.2%
줄어들었으나 감소율은
지난 4월(-4.6%)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아세안 국가들에 대한
수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의 부진 탓에 19.5%나
감소했다.
유럽연합(EU)(-21.9%),
중남미(-15.9%), 미국(-8.3%),
인도(-15.7%) 등에 대한
수출도 줄었으나
CIS(독립국가연합)에 대해서는
일반기계, 가전, 컴퓨터, 선박
등의 호조에 힘입어
31.6%나 증가했다.
이밖에 일본에
대한 수출은 10.9%
줄어들어
최근의 감소세가 이어졌지만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
강화에 따른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달 수입은
1년 전보다 13.0% 줄어든
407억3000만달러로
집계됐다.
지난 5월 이후
7개월 연속 감소세가
계속됐다.
계속됐다.
이로써 무역수지는
33억7000만달러의 흑자를
내면서 2012년 2월부터 무려
94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했다.
반응형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부 부동산PF규제강화 일부증권사 IB영업 위축우려(금)2019-12-06 (2) | 2019.12.06 |
---|---|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2년간 부동산 2천조 올랐다(화)2019-12-03 (4) | 2019.12.03 |
내년 2월 펜타카메라탑재 갤럭시S11 공개(토)2019-11-30 (2) | 2019.11.30 |
반도체시장보다 성장성 큰 배터리시장(화)2019-11-26 (8) | 2019.11.26 |
정부 지하도로 특별법 추진(월)2019-11-25 (4) | 2019.11.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