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량용 공기청정기 추천 어떤게 좋을까(금)2019-04-05
미세먼지가 심해지면서 미세먼지특별법까지
공포되는등 재난수준으로 이슈가 되면서
최근 차량용 공기청정기가 불티나게 팔리는 것
같은데 최근 청정효과에 대한 검증이 이어졌고
결과가 나왔는데 정말 어이없는 수치가 나왔다.
심지어 에어비타 라는 모델은 오히려 오존까지 나온다고~
평소 에어비타 관심이 많았는데 아쉽네요..
아이나비 에서 나온 제품에는 가습기 살균제성분까지 나오고..
출처:필립스
미세먼지 공습이 이어지면서 차량 실내서 사용하는
'차량용 공기청정기'도 불티나게 판매되고 있지만
시중의 절반에 가까운 제품은 공기청정효과가
미미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시험대상 9개 제품 중 7개 제품은 유해가스
제거율이 미흡했다.
출처:한국소비자시민모임
한국소비자시민모임은 시중에서 판매 중인 9개 브랜드
차량용 공기청정기 제품의
△공기청정화능력(CADR)
△유해가스 제거율
△오존 발생농도
△소음 등에 대해 성능 시험을 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소시모가 조사한 브랜드 제품은
△필립스-고퓨어 GP7101
△3M-자동차 공기청정기
△에이비엘코-ABSL 퓨어존 AIR-90
△테크데이타-ForLG 에어서클 일반형
△불스원-불스원 에어테라피
△아이나비-아로미 에어 ISP-C1
△에어비타-카비타 CAV-5S
△크리스탈클라우드-크리스탈 클라우드
△알파인-오토메이트G 등 9종이다.
먼저 소시모가 단위시간당 공기청정화능력(CADR)를
비교한 결과 '필립스-고퓨어 GP7101'의 단위 시간당
청정화 능력이 0.25㎥/분으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9개 중 절반에 가까운 4개 제품
이는 한국공기청정기협회가 정한 소형공기청정기
또 제품에 공기청정화능력(CADR)을 표시 광고하고 있는
차량 내 발생하는 악취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제거능력을 시험한 결과 9개 제품 중 7개 제품은
유해가스제거율이 4%~23%로 제거 효과가 미미했다.

반면 3M과 필립스 제품은 한국공기청정기협회의
'CA(Clean Air)'인증 기준인 유해가스 제거율
60% 이상으로 나타났다.
소시모가 평균 제거능력을 측정한 유해가스는
△암모니아(NH3) △아세트알데하이드(CH3CHO)
△아세트산(CH3COOH)△폼알데하이드(HCHO)
△톨루엔(C7H8) 등 5개다. 수치가 클수록 유해가스
제거율이 큰 것을 의미한다.
음이온식 차량용 공기청정기는 오존이 발생했지만
전제품 전기용품안전기준인 0.05ppm 이하 기준을
충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기용품 안전기준(KC 60335-2-65)은 24시간동안
분 단위로 측정한 오존 농도 중 최고값이 0.05ppm 이하,
단체표준(CA)은 0.03ppm 이하를 적용하고 있다.
필터식·복합식 차량용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필터의 위해 물질 안전성(OIT·MIT·CMIT)을 시험한
결과 1개 제품(아이나비 아로미 에어 1SP-C1)필터에서
'가습기 살균제' 성분인 클로로메틸이소티아졸리논
(CMIT)과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이 각각 12㎎/㎏,
39 ㎎/㎏ 검출됐다.
두 성분은 필터 보존제로 사용됐다.
소비자시민모임 관계자는 "오존은 기준치 이하라
하더라도 실내에 누적되는 경향이 있다"며
"밀폐된 차량 내부에서 장기간 노출 시 호흡기 등
건강에 피해를 줄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주의가 요구
된다"고 말했다. 이어 "오존이 발생하는 전자제품에
대한 사전 관리 및 소비자 안전을 위한 경고 표시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의날씨 강한바람 오후 비 벚꽃축제 우산준비(토)2019-04-06 (0) | 2019.04.06 |
---|---|
오늘의 날씨 황사 공습 강풍조심(금)2019-04-05 (0) | 2019.04.05 |
유효기간 지난 상품권 살리는 법(목)2019-04-04 (0) | 2019.04.04 |
커피와 간 건강 효과 있나(목)2019-04-04 (0) | 2019.04.04 |
전립선 건강 과 토마토 의 효능(목)2019-04-04 (0) | 2019.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