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내에서 WIFI 와이파이를 이용하는 방법
(일)2019-07-14
이제는 비행기에서도 인터넷을 사용 할 수
있는 시대.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유료서비스로 와이파이를 제공하지만
미국의 델타항공은 국내선에 한해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고~
비행기에서 비행중 와이파이를 쓸 수 있다는
사실을 아직도 모르는 사람이 많다.
이미 해외 항공기들은 비행중인 상태에서
무료 와이파이를 제공하기 시작했었다.
미국 델타항공의 경우 모든 여객기에 무료
와이파이 서비스를 도입하고 미국 젯블루도
2017년 1월부터 승객들에게 무료와이파이를
제공라고 있다. 그외 사우스웨스트항공과
알래스카항공등은 기내에서 승객들이 무료
문자메시지를 보낼 수있는 서비스를 도입했다.
델타항공의 기내와이파이 표시등
항공사들의 서비스강화를 위한 무료와이파가
그리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기내 와이파이가
가능해 지려면 장비를 설치해야하는데 비용이
만만치않고 장비를 여객기에 설치하면 항공기가
무거워지고 그에 따라 연료비가 많이들게 되기
때문에 항공사들의 비용이 증가한다. 실제로
항공사 일부는 유료 인터넷을 운영하고 있다.
국내 항공사 첫 와이파이는 아시아나항공.
물론 유료서비스로 1시간에 1만 3,500원의
서비스요금을 받는다. 대한항공도 기내
와이파이서비스를 도입하면서 19년 4월부터
인터넷접속은 불가하지만 기내 결제와
엔터테인먼트 전용으로 한계를 두고
접속을 허용하고 있다.
<< 기내 와이파이는 어떤 방식일까 >>
우선 비행기에서 와이파이 제공을 위해
필요한 것이 지상의 기지국이다.
또한, 하늘을 날면서 필요한 것이
바로 인공위성이다. 이 둘을 각각 활용하거나
둘을 결합하여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기내 와이파이를 가능하게 한다.
먼저 지상기지국을 활용하는
ATG(Air to Ground)방식과
Ku밴드 또는 Ka밴드를 이용한
인공위성통신 등 세가지 방식이
현재 제공되는 서비스 방식이다.
1. ATG방식
ATG방식은 국내선처럼 바다위를
날지 않는 경로에서 주로 사용된다.
경로에 다라 지상기지국과 통신으로
기내 와이파이를 이용할 수 있게
지원한다. 기체 바닥에 안테나 두개를
설치해서 지상과 통신하게 되는 것이다.
통신속도는 3 Mbps 정도.
2. Ku밴드 방식
위성통신 방식으로 12~18 GHz 대역
전파를 사용하며 지상기지국에
의존하지않고 우주에 있는 인공위성과
통신하는 방식으로 항공기 상부에
안테나를 장착하게 된다.
보통 30~40Mbps의 속도를 낼수
있으며 지상기지국보다 10배이상
빠른 인터넷 속도를 사용할 수있다.
하지만 위성이 적고 지역내 항공기가
많을 경우 속도가 저하되는 단점 있음.
3. Ka밴드 방식
Ka밴드 방식도 위성방식이고
군용으로 많이 쓰이며
대역은 Ku보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한다. 위성통신기업인 비아셋이
제공하는 Ka대역 통신은 항공기마다
최고 70Mbps에 달하는 통신속도를
지원합니다. 현재 가장 바른 기내
와이파이 서비스로 보면 된다.
<< 기내 와이파이 접속방법 >>
기내에서 와이파이를 접속하는 방법은
비행기모드로 전환하여 와이파이에
접속한다. 항공사가 제공하는 와이파이
(제주항공의 경우 JEJUAIR WIFI)
에 연결하면 된다. 외부 인터넷은
사용할 수없고 항공사에서 제공한
간단한 동영상등 인포테인먼트등을
제공 받을 수 있다고 한다.
'정보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방님 의 유래(토)2019-07-20 (0) | 2019.07.20 |
---|---|
오키나와 사람들이 장수하는이유(일)2019-07-14 (0) | 2019.07.14 |
SRT 무료이용연령 6세미만으로 상향(수)2019-07-10 (0) | 2019.07.10 |
일사병과 열사병의 차이점(토)2019-07-06 (4) | 2019.07.06 |
NHN페이코,이마트24 편의점서 결제가능(목)2019-07-04 (2) | 2019.07.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