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 확진자
4일 만에 9배 증가
오미크론 우려감
(토)2021-11-27
남아프리카 공화국
코로나 확진자가
4일만에 9배나
증가했다고 한다.
이런 결과가
오미크론(누변이)
때문인지 밝혀지진
않았지만~
오미크론이 위험해
보이는 건 사실인듯
해보인다.
오미크론 변이는
지난 11일, 아프리카
남쪽 보츠와나에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처음 발견했다고~
이후 주변국인
남아프리카공화국
으로 빠르게
번진 것.
지난 22일
312명이었던
남아공의 하루
신규 확진자는
나흘 만에 9배 넘게
늘었다고 한다.
2~3%대였던
양성률도 9%대로
치솟았는데~
오미크론
변이의 영향일
가능성에
현지 보건당국이
주목하고 있단다.
오미크론에는
모두 50개가 넘는
변이가 있는데
스파이크 단백질
돌연변이만 32개나 돼
델타 변이의 2배에
달한다고 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바이러스 표면의
돌기부분으로
인체에 침투시
중요하게
작용하는데
여기에 변이가 생겨
이미 항체가 형성된
사람의 면역체계를
회피하거나
전파력이 더 커질 수
있다고 한다.
현재
접종 중인 백신이
오미크론 변이에
효과가 있는지는
몇 주 정도 검증이
필요한 상황이다.
오미크론 변이가
기존 델타 변이
전파 속도를 압도하고,
기존 항체를 회피한다는
남아공 연구 결과도
나오고 있는데~
미국
질병예방통제센터나
세계보건기구 차원의
정확한 위험도 평가가
나오기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한다.
오미크론 변이가
아직은 초기단계이며
현재 백신이 무력화
되는지도 아직은
알 수가 없다.
그래서
더 무서울 수
있는것인데~
제발 확산되지
않았으면 좋겠고
기존 백신에서도
내성이 없었으면
좋겠다.
코로나 바이러스가
혹시 외계인은
아닐까 생각이 든다.
오미크론에 대한
과잉반응이
금융시장에 닥쳐
월요일이 무섭네~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역당국 트래블버블 협약국 오미크론 변이 확인 시 서킷 브레이커 검토 (화)2021-11-30 (1) | 2021.11.30 |
---|---|
현대바이오 오미크론 변이 가능한 경구용 치료제 성과 결과 기대 (월)2021-11-29 (3) | 2021.11.29 |
해외주식투자 부동의 1위 미래에셋 제치고 삼성증권 등극 한 이유 (월)2021-11-22 (0) | 2021.11.22 |
파월 연준의장 연임 될까? 이번 주 연준 의장 지명, 브레이너드 누구 (수)2021-11-17 (0) | 2021.11.17 |
제2 테슬라 전기차 픽업트럭 리비안 상장, 아마존 포드 투자 이유 (목)2021-11-11 (1) | 2021.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