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낙상위험 막는
근감소증 줄이는 방법
(일)2020-06-21
남성은 고기, 여성은 우유 섭취가
적을수록 근감소증에
걸리기 쉬운 것으로 밝혀졌다.
65세 이상 노인 4명 중 1명이
근감소증 환자로 분류됐다.
근감소증은 근육량이
줄어들 뿐만 아니라
근력이 떨어져서
노년기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뿐 아니라
낙상 위험도 높인다.
근감소증 자가진단
20일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
(KOFRUM)에 따르면
연성대 식품영양과 임희숙 교수가
2008∼2011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65세 이상 노인
3,350명을 대상으로 식생활과
근감소증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
(Association of Dietary Variety
Status and Sarcopenia
in Korean Elderly)는
대한골대사학회지 최근호에 소개됐다.
우리나라 노인의
근감소증 유병률은
남성(27.7%)이 여성(24.3%)
보다 약간 높았다.
남성노인은 고기섭취 늘려야 한다.
<< 남성노인 >>
근감소증이 있는
남성 노인은 근감소증이 없는
노인보다 호두,아몬드 등
견과류와 씨앗류,육류
우유섭취량이 현저히 적었다.
<< 여성노인>>
여성 노인은
근감소증이 있는 그룹에서
과일,우유,음료를
확실히 덜 섭취했다.
근감소증 여성의 우유 섭취량은
하루 32.3㎖로, 근감소증이
없는 여성(70.3㎖)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식사의 다양성은
근감소증이 있는
여성에서 현저하게 낮았다.
하루 고기 섭취가
가장 적은 그룹(31.1g 미만)에
속한 남성 노인이 하루 고기 섭취가
가장 많은 그룹(55.3g 이상)의
남성 노인에 비해 근감소증
발생 위험이 1.8배였다.
1일 우유 섭취량이
최소(30.1㎖ 미만)인 여성 노인의
근감소증 발생 위험은
1일 우유 섭취량이 최다
(51.9㎖ 이상)인 여성 노인보다
1.4배 높았다고 한다.
임 교수는 논문에서 근감소증은
나이ㆍ질병ㆍ운동ㆍ유전 등
다양한 요인과 관련이 있다며~
특히 식사의 다양성이
근육량 감소의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고
지적했다.
노인의 계란ㆍ우유ㆍ고기 등
고단백 식품 섭취가 부족하면
근감소증 환자가 될
위험이 높아진다.
불충분한 단백질 섭취가
노인의 근육 단백질 합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의 근육 손실이
단백질 섭취량이 적은
그룹에 비해 근육 손실이
약 40% 적었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근육의 손실은
근육의 비타민 D 수용체
감소를 동반하기 때문에
혈중 비타민 D의 수치를
높이는 것이 근육량을
높게 유지하는 데
필수적인 요소다.
임 교수는 논문에서
근감소증을 가진 여성은
식사의 다양성이 떨어졌다며~
근감소증은 남성의 고기 섭취 부족
여성의 우유 섭취 부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남성 노인은 고기를 ~
여성 노인은 우유를 잘 섭취해야
근감소로 인한 낙상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겠다.
'건강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어컨에 탈나는 감기와 비슷한 냉방병 증상과 대처법(목)2020-07-30 (70) | 2020.07.30 |
---|---|
통풍치료제 콜킨 코로나 치료에 효과 입증소식(일)2020-06-28 (30) | 2020.06.28 |
장기집콕생활로 허리디스크 증상 허리통증 완화 방법(토)2020-06-13 (60) | 2020.06.13 |
발톱으로 보는 건강체크 6가지(금)2020-04-17 (68) | 2020.04.17 |
음악이 치매를 치료하는 이유(금)2020-04-03 (67) | 2020.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