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람코 드론 공격
반사익 수혜기업
(화)2019-09-17
▶️ 이번 아람코 드론 공격에
따른 실질적인 반사 수혜는
석유화학업체입니다.
이는 사우디의 석유화학
설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정제설비보다
더 높기 때문입니다.
▶️ 사우디의 정제설비
규모는 총 540만b/d이며
사우디 내 Capa는
290만b/d로
글로벌 공급의 3%를
차지합니다.
반면, 사우디의
에틸렌 Capa는
1,660만톤/년으로
글로벌 공급의 10.4%이며
프로필렌은
620만톤/년으로
글로벌의 5.8%입니다.
▶️ 이번 드론 공격으로
사우디 내
메탄/에탄/프로판 등
석유화학 원재료인
가스 또한 아람코 공급의
50%가 중단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이에 따른 영향에
더욱 관심이 필요할 것
으로 생각됩니다.
실제 SABIC은
원료공급이
약 49% 수준으로
감소했으며,
Saudi Kayan은 50%,
Yansab은 약 30%,
Advanced
Petrochemical은
40%,
Sipchem은 40%,
Sadara는 41% 수준으로
원료공급이 감소할 것
이라 밝혔습니다.
▶️ 메탄과 프로판의
공급차질 또한
역내 석유화학 제품
공급감소 요인입니다.
MTO, PDH가
원료 조달에
타격을 입을 경우
PE/PP 등의 공급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 아람코 공격 이후
오늘 새벽 개시된
미국 장에서
Lyondell Basell은 +4%,
Westlake는 +4.9%의
급등세를 시현했습니다.
Dow 또한
+1.6% 올랐네요.
이는 사우디 ECC의
공급차질이
미국 ECC의 상대적
경쟁력을 부각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의
움직임이라 해석됩니다.
반면, Valero -3.7%,
Matathon Petroleum -1.7% 등
E&P사업이 없는
독립정유업체의 주가는
오히려 하락세를 기록했습니다.
국내 NCC업체
또한 반사수혜가
충분히 가능하며
특히,
미국 ECC를 보유한
롯데케미칼의 상대적
경쟁력 또한 부각될
필요가 있습니다.
▶️ 최근 시황약세가
주요 업체의 재고 및
가동률 조정을 견인
하고 있기에 업황의
진바닥임은 수 차례
언급한 바 있습니다.
단적으로
동중국 EG재고는
연초 이후 가장 낮은
수준까지 하락했고,
이에 제품/마진은
반등세를
시현했었습니다.
▶️ 동 이슈로
어제 대련 EG선물은
+7%의 급등세를
보였고, Spot도
+7.4%
급등했습니다.
불확실성이
Restocking을
자극하기 시작한 것입니다.
Top Picks는
롯데케미칼, 한화케미칼,
대한유화입니다.
<< 원문 링크 >>
'투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주 ASF발생농장 돼지 3,950마리 살처분 위기경보 격상(화)2019-09-17 (8) | 2019.09.17 |
---|---|
미국,사우디 원전 공동진출하자 제안(화)2019-09-17 (0) | 2019.09.17 |
아프리카돼지열병 파주서 첫 발병(화)2019-09-17 (4) | 2019.09.17 |
ISA 대체할 국민재테크통장 나온다(화)2019-09-17 (8) | 2019.09.17 |
11월 투자이민 증액전 서두르는 586세대(월)2019-09-16 (2) | 2019.09.16 |
댓글